







sepal님의 로그 입니다.
가벼움을 경계하고, 깊고 고요하게 ~♬-
16
-
로봇이 아닙니다.
jazzN(@haveclass)
- 8 팔로워
- 9 팔로잉
- 소속 방송국 없음
-
16
jazzN (@haveclass)2024-02-22 15:12
✅ 기반기술SmartDepot
스마트데포 기술은 약물을 체내에 투여한 후 제형으로부터 서서히 방출되게 하여 약물의 혈중농도를 높게 유지하고,
약효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펩트론 고유의 기반기술.
✅ 개발제품 - 파킨슨병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말단비대증 치료제, 전립선암 치료제.
펩트론은 해외에서 전립선암 치료제로 개발 시판, 루프롤라이드 모델 약물로 사용하여 기반 기술인 스마트데포 기술 구축,
1개월 및 3개월 지속형 제품 개발완료. 2003년 대웅제약에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
약효지속화 기술로 첫 번째 개발제품인 전립선암 치료제 공동 개발 진행 사업화 성공댓글 0
-
16
jazzN (@haveclass)2024-02-22 12:03
✅ 키네마스터 - 세계 최초 알파 비디오 편집 기능 추가한 HEVC 알파비디오 론칭.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술력이 집약된 동영상 편집기 KineMaster와 NexPlayer SDK 제공.
KineMaster는 빠르고 손쉽게 멋진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동영상 편집기,
단 몇 분 안에 고퀄리티 영상을 만들 수 있는 멋진 템플릿들을 제공, 마음에 드는 템플릿을 다운 받고
다양한 그래픽과 오디오 효과에 내 동영상과 이미지를 넣기만 하면 유용하고 세련된 영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전 세계의 많은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크리에이터들과 저널리스트, 교사, 마케터들이 키네마스터를 이용하고 있다.
NexPlayer SDK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제작 솔루션,
모바일 앱을 통해 HD급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과 VOD 시청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도록 지원.
지금도 다양한 글로벌 서비스 업체들이 NexPlayer SDK를 사용하고 있다.
NexPlayer SDK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에 동일한 기능의 HD급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가능.
iOS, Android, Window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쉽게 동영상 플레이어 앱 제작,
HTTP Live Streaming 재생 기능 제공, DRM 기술 연동,
다양한 자막 지원 등 단말기에 내장된 플레이어가 지원하지 못하는 다양한 최신 기술 제공.댓글 0
-
16
jazzN (@haveclass)2024-02-22 11:25
✅ 그린리소스 - 초전도선재 - 반도체 공정부품 특수코팅, 공정수율 높이는 소재∙초고밀도 기술 국산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식각장비 부품을 보호하는 특수코팅.
내식성과 내플라즈마성이 우수한 야그(YAG) 계열의 코팅소재를 독자적으로 개발,
PVD 증착 방식 코팅 기술 양산은 그린리소스를 포함 전세계 2곳뿐.
초전도선재는 특정온도에서 전기저항이 제로가 돼 에너지 손실없이 대용량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전선.
전력기기, 의료, 과학 분야에서 수요가 차츰 늘고 있다. 그린리소스는 초전도선재 제조 관련 장비를 개발했다.댓글 0
-
16
jazzN (@haveclass)2024-02-17 09:56
✅ 챠트가 만들어지면 뉴스가 나온다. 좋은 재료에 레시피를 추가하는것이다.
💎. 매매 3원칙
1). 기업 (종목 = 미래시장 & 관심과 인기 )
2). 챠트 (흐름 = 지표 & 가격 - 내가 산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에 사줄 사람이 있는 가격인가)
3). 재료 = 관심과 인기 끌 준비가 되어있는지 (리포터 & 뉴스.이슈 & 수급 = 호재 & 악재 구분)
✅ 최근 1~2년 동안 매년 upgrade되거나 성장하며 기대감을 갖게 하는 새로운걸 찿아라.
☞. 요리할 때 레시피처럼, 매매에도 레시피가 있다. 레시피를 알면 성공할 수 있다.
💎. 참고 웹사이트
더벨. 연합뉴스. 네이버. 다음. 컴퍼니가이드. MTN. 머니투데이. 헤럴드경제. 의약품안전나라.
메디파나. 약업닷컴. 38커뮤니케이션(신규상장). 나스닥 (상장 일정표).등...댓글 0
-
16
jazzN (@haveclass)2024-02-14 12:04
✅ 특징 - 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일차 원료로서 양극재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
국내 유일 고객사가 원하는 맞춤형 전구체 제조가 가능하다.
✅ 에코앤드림 전구체는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전구체로
대규모 공급계약에 따라 고객사에 초도 납품을 완료하고 공급일정에 맞춰 계속 출고를 진행중..
전구체는 양극재의 원가의 70%를 차지하며 양극재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원재료다.
NCM 전구체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섞어 만든 화합물로, 대부분의 전기차에 사용된다.
에코앤드림 자체 조사에 따르면 2030년 기준 국내 양극재 생산량 252만톤 대비 전구체 공급은 145만톤 수준으로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며, 전구체 공급처를 구하기 쉽지 않아 연간 100만톤에 달하는 극심한 공급부족 전망.댓글 0
-
16
jazzN (@haveclass)2024-02-12 20:58
✅ 특징 - 반도체 수율개선 위한 모멘텀 "반도체 습도제어 글로벌 1위… 2차전지 장비 역량도 탄탄"
반도체 공정에서 습도를 낮추는 장비로 전 세계 시장 80% 이상 점유,
여기에 디스플레이 정전기 제어 장비, 2차전지 '롤투롤(Roll to Roll)' 장비에서도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댓글 0
-
16
jazzN (@haveclass)2024-02-11 10:31
✅ 에이피알 (https://apr-in.com/) 청약일 2월 14~15일, 공모가 25만원. 상장일 27일.
기업가치 1조원, 이번 상장으로 시가총액은 1조 8천억원을 넘는다.
홈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국내 시장점유율 1위, 동남아 및 글로벌 진출.
1주 청약 받으면 60만원 가능할까… 兆 유니콘 대어.댓글 0
-
16
jazzN (@haveclass)2024-02-08 15:58
✅ 컨텍 - 우주항공시대 주목해야 할 기업 ( https://kr.contec.kr ) (초저궤도 초소형 군집위성)
위성 및 발사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지상국 사이트 선정 기술부터 설계 및 구축 기술,
운용 및 관제 기술, 예방/고장 정비 기술, 통합운용 SW 개발 기술까지 지상국 시스템과 관련된 Turn-key 솔루션을 제공
컨텍의 글로벌 지상국 네트워크인 “이음 스테이션”은
전세계에 운용되고 있는 위성사업자를 대상으로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ONTEC은 Space Studio와 다양한 위성 데이터, 그리고 AI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분석/활용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한다
Space Studio를 통하여 직관적이고 간편한 위성 데이터 분석/활용 서비스를 구독형으로 누릴 수 있습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 및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컨텍의 스마트시티 모니터링 솔루션은
항만시설, 선박, 농촌시설, 도시의 교통 흐름, 환경 상태 및 도시 인프라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하여 도시 계획 및 자원 관리에 필수적인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댓글 0
-
16
jazzN (@haveclass)2024-02-07 17:37
✅ 에코프로 머티리얼즈
세계 최고 수준의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핵심소재 중 하나인 하이니켈 전구체 제조.
전구체는 양극소재에서 가장 높은 원가 비중을 차지한다.
전구체 합성 기술이 양극소재의 핵심 성능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양극활물질에서 매우 중요한 원재료다.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 2022, Li2S 전고체 배터리 황화물계 전해질 원료인 황화리튬 (Li2S) 생산 기술 개발
NP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황화수소 가스를 이용하여 세계에서 3번째로 자체 개발
엄격한 공정관리로 최상의 품질 고순도 제품 생산. ABS, SBR, SB-Latex 등의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
기어오일, 그리스, 금속 가공류를 위한 극압 첨가제 윤활유 첨가용 부식방지제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 이수스페셜티케미컬과 고체전해질 원료 공급 MOU 체결.댓글 0
-
16
jazzN (@haveclass)2024-02-07 14:44
✅ 7일 애플의 비전프로 운영체제 ‘비전OS’에서 '폴라리스Office AI' 어플리케이션 검수를 마치고 연동을 시작했다.
💎. 스토어에 SDK 출시, AI 시장 초격차 전략화.댓글 0
- 쪽지보내기
- 로그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