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찾사음악을찾는사람들행복동행
♧…しㅓしㅐフㅏ ススㅣフㅓててㅏ˚ **★┃사┃**★**┃랑┃**★**┃해┃★** …────ε♡з─˚Łοvё ♬~˚───˚♡-
50
-
언제나 인라이브
꧁✨⭕┣🍀추🎭꧂(@pcw4862)
- 190 팔로워
- 1,015 팔로잉
- 🎏🍀🍧🌸톡톡올댓뮤직🌸🍧🍀🎭
-
50
꧁✨⭕┣🍀추🎭꧂ (@pcw4862)2022-05-05 17:20
'저분이 왜 저렇게 되었을까?'
그렇습니다. 누구나
삶을 살고 사람들을 만나다 보면
"저분이 참 좋은 분이었는데 왜 저렇게 되었을까?"
라는 생각이 살며시 드는 안타까운 때가 있을 겁니다.
이유는 간단하죠. 어느 순간 성찰을 중단했기
때문입니다. 성찰에는 절대 끝이 없습니다.
끝이 있어서도 안 되고요.
- 이문수의《누구도 벼랑 끝에 서지 않도록》중에서 -
* 사람을 대하면서
깜짝 놀랄 때가 더러 있습니다.
지금까지 알고 있던 것과는 전혀 다른 사람으로
변한 모습을 보게 될 때입니다. 좋은 쪽으로 변화라면
다행인데 너무도 실망스러운 모습으로 변해 있을 경우
크게 놀라게 됩니다. 그런 모습은 자기관리 실패를
뜻합니다. 스스로 자신을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성찰은
사람을 아름답게 변화시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3
-
50
꧁✨⭕┣🍀추🎭꧂ (@pcw4862)2022-05-05 17:19
물고기 비늘
사회적 폭력으로 인해
상처를 받은 사람들은 종종
자신의 경험을 말하지 못합니다.
그 상처를 이해하는 일은 아프면서
동시에 혼란스럽습니다. 그러나 우리 몸은
스스로 말하지 못하는, 때로는 인지하지 못하는
그 상처까지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물고기 비늘에
바다가 스미는 것처럼 인간의 몸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의 시간이
새겨집니다.
- 김승섭의《아픔이 길이 되려면》중에서 -
* 물고기는 물 없이 못 삽니다.
강과 바다가 있어야 생명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인간도 사회라는 바닷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크고 작은 상처를 받아 몸과 마음과 영혼에
물고기 비늘처럼 딱지가 생깁니다. 돌멩이보다
더 단단히 달라붙은 그 딱지가 사실은
시간이 새겨준 삶의 훈장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5-05 17:19
그 '좋은 말'을 어떻게 찾았을까?
당신을
위로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 위로하는 좋은 말들처럼 평탄한 인생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 마라. 그의 인생 역시 어려움과
슬픔으로 가득 차 있을 것이다. 당신의 인생보다
훨씬 더 뒤처져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그 좋은 말들을 찾아낼 수조차
없었을 것이다.
-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중에서 -
* 위로하는 말은
좋은 말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험한 말로 남을 위로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요.
그 좋은 말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그도 언젠가
힘들고, 외롭고, 슬플 때 누군가로부터 받은 위로의
말에 힘을 얻었던 경험에서 비롯되었기 쉽습니다.
걱정 근심 없는 사람 없습니다. 고통과 슬픔은
언제나 삶의 동반자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오히려 시(詩)가 되고, 아침편지가 되고,
남을 위로하고 치유하는 좋은 말로
탈바꿈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5-04 18:37
,,,댓글 0
-
50
꧁✨⭕┣🍀추🎭꧂ (@pcw4862)2022-05-04 18:37
,,,댓글 0
-
50
꧁✨⭕┣🍀추🎭꧂ (@pcw4862)2022-05-04 18:37
...댓글 0
-
50
꧁✨⭕┣🍀추🎭꧂ (@pcw4862)2022-05-04 18:36
...댓글 0
-
50
꧁✨⭕┣🍀추🎭꧂ (@pcw4862)2022-05-04 18:36
...댓글 3
-
50
꧁✨⭕┣🍀추🎭꧂ (@pcw4862)2022-05-04 18:36
...댓글 0
-
50
꧁✨⭕┣🍀추🎭꧂ (@pcw4862)2022-05-04 18:36
...댓글 0
- 쪽지보내기
- 로그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