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쪽지
쪽지 플러스 구매
쪽지
삭제 전체 삭제
  • 쪽지
  • 친구
로즈선물
  • 임의지정
  • 내 보유로즈
    0

젤리선물
  • 임의지정
  • 내 보유젤리
    0

하트선물
  • 임의지정
  • 내 보유하트
    0

메시지 상세
00:00

logo

http://pc9318.inlive.co.kr/live/listen.pls

음찾사음악을찾는사람들행복동행

♧…しㅓしㅐフㅏ ススㅣフㅓててㅏ˚ **★┃사┃**★**┃랑┃**★**┃해┃★** …────ε♡з─˚Łοvё ♬~˚───˚♡
  • 50
  • 언제나 인라이브

    ꧁✨⭕┣🍀추🎭꧂(@pcw4862)

  • 50
    ꧁✨⭕┣🍀추🎭꧂ (@pcw4862)
    2022-04-01 17:35


    스승의 존재


    말과 글과 행동은
    곧 한 사람이 살아가는 방식이다.
    겉으로 드러난 방식보다 존재 그 자체가
    더 본질적이다. 사제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가르침의 원천은 스승의 존재에 있다. 그래서
    가장 훌륭한 스승은 존재 자체가 메시지다.
    배우는 시간이나 가르치는 공간이 아니라
    스승의 존재가 제자의 성장을 촉진한다.


    - 홍승완의《스승이 필요한 시간》중에서 -


    * 사람의 참 모습은
    하는 말과 쓰는 글과 의지를 가지고 하는 행동에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하지만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큰 울림과 의미를 주는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참 스승입니다.
    스승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따르고 배우는 제자들에게
    전부이기 때문입니다. 제자들과 같이 있지 않더라도
    존재하는 것만으로 말과 글과 가르침보다도
    제자를 성장시키고 빛나게 합니다. 이런
    스승들이 더욱 필요한 시대입니다.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3-31 17:45


    ...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3-31 17:45


    ...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3-31 17:45


    ...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3-31 17:45


    ...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3-31 17:44


    ...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3-31 17:44


    ...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3-31 17:44


    ...

    댓글 3

  • 50
    ꧁✨⭕┣🍀추🎭꧂ (@pcw4862)
    2022-03-31 17:44


    어린이 시인, 어린이 물리학자


    예술가와 과학자에게는
    영감의 원천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현실에 대해 느끼는 경이로움과 놀라움이
    그것이다. 그것은 그 자체로 시적이며 시적인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이렇게 말했다. "욕조나 길 위에 고인 웅덩이의
    물을 바라보는 재미가 어린이를 물리학자로
    만드는 것이다."


    - 세드리크 빌라니의《수학은 과학의 시다》중에서 -


    * 물웅덩이를 보고 재미있어
    하는 아이는 이미 시인이고 물리학자입니다.
    보통 사람들 눈에는 별것도 아닌 것에서 즐거움,
    놀라움, 경이로움을 느끼는 그런 감수성이 뜻밖의
    영감을 불러오고, 그 영감이 인문학적으로 이어지면
    시인이, 수학적으로 연결되면 물리학자가 됩니다.
    그런 어린이가 훗날 불후의 명작을 낳고,
    장차 노벨상 수상자로도 이름을
    올리게 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댓글 3

  • 50
    ꧁✨⭕┣🍀추🎭꧂ (@pcw4862)
    2022-03-31 17:43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뇌가 활성화 상태를
    항상 유지하는데 '휴식 상태'라는 표현은
    부적절한 명칭일 수 있다. 그래서 일부 과학자들은
    생각이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도 여전히 활동하는
    뇌 부위를 다른 이름으로 부르고 싶어한다.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라는
    명칭이다. 뇌가 다른 일을 하라는 요청을 받지
    않을 때 특정 영역 활동이라는 기본 설정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이르는 용어다.


    - 클라우디아 해먼드의《잘 쉬는 기술》중에서 -


    * 뇌는 쓸수록 좋아진다고 말합니다.
    머리 회전이 빨라야 영리하다는 말도 합니다.
    그러나 뇌도 쉬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때때로
    '멍 때리는' 시간이 절대 필요합니다. 다름 아닌 바로
    그 멍 때리기가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입니다.
    그때 오히려 뇌는 더 좋아집니다. 머리를 빨리
    회전시키는 것보다 더 많은 영감이 솟아나고,
    세상을 번쩍 들었다 놓을 아이디어도
    그때 튕겨 나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댓글 0

    • 쪽지보내기
    • 로그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