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찾사음악을찾는사람들행복동행
♧…しㅓしㅐフㅏ ススㅣフㅓててㅏ˚ **★┃사┃**★**┃랑┃**★**┃해┃★** …────ε♡з─˚Łοvё ♬~˚───˚♡-
50
-
언제나 인라이브
🎏꧁⭕┣추꧂🎭(@pcw4862)
- 186 팔로워
- 1,016 팔로잉
- 🎏🍀🍧🌸톡톡올댓뮤직🌸🍧🍀🎭
-
50
🎏꧁⭕┣추꧂🎭 (@pcw4862)2022-03-22 17:45
거미줄처럼 얽힌 내 안의 '경계선'
내 안에서
서로 다른 생각들이
충돌하고 있는 갈등 상황을 예로 들어보자.
'나'라는 경계 안팎에서 빚어지는 갈등이므로,
'나'가 어느 수준에서 정의되었느냐에 따라 양상이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군사전문가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경계선'은 잠재적인 '전선'이기도
하다. 하나의 경계선은 두 개의 대립된 영토,
전투 가능성이 있는 두 진영을
만들어내는 법이다.
- 켄 윌버의《무경계》중에서 -
* 내 안에는
여러 경계선이 존재합니다.
이거냐 저거냐 생각이 갈려 부딪치고,
이쪽이냐 저쪽이냐 방향이 갈려 충돌합니다.
끊임없이 전투가 벌어지고 그때마다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로 정작 할 일을 놓치고 맙니다.
거미줄처럼 얽힌 내 안의 경계선을 허물어
생각이 자유자재로 흘러가게 하는 것,
중요한 마음 훈련의 하나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3-22 17:45
나를 드러내는데 10년이 걸렸다
아! 난 그때 알았다.
숨기지 않고 드러낼 때
내가 얼마나 자유로웠고 재밌었는지.
얼마나 강해졌는지. 이렇게 난 나의
취약점을 감추지 않고 그대로의
나를 드러내는 데
10년이 걸렸다.
- 최보결의《나의 눈물에 춤을 바칩니다》중에서 -
* 가장 큰 용기는
감춰진 나를 드러내는 일입니다.
가장 큰 결심은 자신의 부끄러운 취약점을
드러내는 일입니다. 10년만의 용기와 결심도
의미있지만, 한 해라도 일찍 하면 그만큼
치유와 자유의 시간도 단축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3-22 17:44
중심(中心)이 바로 서야
뜻을 온전히 세웠는가.
천하의 모든 일은 중심이 바로
서지 않고는 이루어진 것이 없다.
크게는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와 작게는
먹고 자는 것에 이르기까지 어느 하나라도
그에 합당하지 않은 것이 없다. 중심을 먼저
세우지 않고 문득 일을 하려 한다면
질서가 없이 산란해서 결국에는
수습할 수가 없다. ('일득록1', 문학1)
- 정창권의《나를 나이게 하라》중에서-
* 모든 일에는 뜻이 있습니다.
그 뜻을 잘 읽어내야 중심을 잡을 수 있고,
중심을 잘 잡아야 바깥 상황이 요동쳐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세상살이는 변수의 연속입니다. 성공과
실패, 행복과 불행이 겹쳐 다가옵니다. 그때마다
자기만의 기준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질서를 잃고 표류하게 됩니다. 하다못해
'먹고 자는' 일조차도 흔들리게 됩니다.
뜻을 온전히 찾고 중심을 다시금
잘 세우라는 신호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3-22 17:44
급할수록 천천히
빠르게 가고 싶다면, 일은 원인부터.
공부는 기초부터. 사랑은 나부터. 만남은 작은 것부터.
그렇게 속사정부터 알고 하나하나 다져갔으면 합니다.
그것이 가장 빠르고 바른 길이지 않을까 합니다.
새삼스레 느끼게 됩니다.
'급할수록 천천히'라는 말.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
급할수록 조급해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
- 정영욱의《나를 사랑하는 연습》중에서 -
* 일에도, 학업에도, 사랑에도,
만남에도 열차를 급하게 타는 것처럼
조급한 마음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조금은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신중히 생각하고 깊게 알아봐야
내 급한 마음에 조금이라도
속도를 맞출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댓글 0
-
50
🎏꧁⭕┣추꧂🎭 (@pcw4862)2022-03-21 18:13
한주시작 감기조심하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3-21 18:10
...댓글 3
-
50
🎏꧁⭕┣추꧂🎭 (@pcw4862)2022-03-21 18:10
...댓글 0
-
50
🎏꧁⭕┣추꧂🎭 (@pcw4862)2022-03-21 18:09
논쟁이냐, 침묵이냐
누가 당신과
논쟁하려거든 침묵하여라.
어떠한 논쟁에도 대답 말고 조용히 물러나라.
왜냐하면 논쟁은 마음만 훼방 놓을 뿐이다.
지성을 훈련하는 것만이 필요하지 헛되이
그것을 방해할 필요가 뭐가 있는가?
모든 논쟁은 마음의 균형을 깨고
무의식에 훼방을 놓을 뿐이다.
그것들을 초월하는
상위 단계가 있다.
- 비베카난다 잠언집《나는 행복을 원하지 않습니다下》중에서 -
* 생산적 논쟁도 물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사람 사이에 불을 붙이고
그 불이 자신을 태우기도 합니다. 인격도 지성도
한순간에 날아가 버립니다. 금쪽같은 에너지 낭비도
큽니다. 논쟁이냐, 침묵이냐. 굳이 선택해야 한다면
답은 분명합니다. 침묵입니다. 침묵은 모든 논쟁을
추월하는 고도의 상위개념입니다. 그래서
'침묵은 금'이라고도 했겠지요?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3-21 18:09
극한의 고통
경험에는 항상
타인과 온전히 공유할 수 없는
개인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게 마련이다.
고통도 타인과 나눌 수 없는 것이다. 고통이
어느 지경까지 가면 고통을 겪는 이의 세계와
언어를 파괴한다. 고통은 말을 박살 낸다.
어느 정도 아프면 무엇 때문에 아프다는
말을 할 수 있지만 고통이 너무 압도적일
때에는 그렇게 말하는 능력조차
잃게 된다.
- 라르스 스벤젠의《외로움의 철학》중에서 -
* 극한의 고통에서 나오는 것은
언어가 아닙니다. 비명입니다. 울부짖음입니다.
아무도 대신할 수 없고 누구와도 나눌 수 없습니다.
오로지 혼자만의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일 뿐입니다.
그러나 그때에도 곁에 누가 있느냐에 따라 고통의
질감은 달라집니다. 자기 고통처럼 같이 아파하고
눈물짓고 어루만지면, 그런 사람 하나 있으면
그 어떤 극한의 고통도 견딜 수 있습니다.
비명이 감사의 언어로 바뀝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3-21 18:08
오늘 일은 오늘에 족하다
설사 힘들게 살았더라도
과거는 과거에서 종지부를 찍고,
가급적 현재를 살도록 노력해야 한다.
과거는 이미 지나가서 없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아서 없다고 하지 않던가. 우리는
지금 여기라는 현재에 있기 때문에 현재를
살아야 건강하다. 그러니까 과거의
아픔이나 습성이 올라온다고 해서
그냥 이에 내맡길 것이 아니라
애써 현재에 충실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장성숙의 《불행한 관계 걷어차기》 중에서 -
* 지나간 것은 지나간 것입니다.
붙잡을 수도 없고 돌아갈 수도 없습니다.
붙잡을 수 없는 것을 놓고 씨름할 필요 없습니다.
내일 일은 내일의 것입니다. 미리 당겨서 염려할
필요 없습니다.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에서
지금 내 앞에 주어진 시간은 현재뿐입니다.
근심 걱정 내려놓고 밥 맛있게 먹고
잠 잘 자고, 운동하고, 명상하고...
오늘 일은 오늘에 족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쪽지보내기
- 로그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