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쪽지
쪽지 플러스 구매
쪽지
삭제
  • 쪽지
  • 친구
젤리선물
  • 임의지정
  • 내 보유젤리 0

하트선물
  • 임의지정
  • 내 보유하트 0

메시지 상세
00:00

logo

http://pc9318.inlive.co.kr/live/listen.pls

음찾사음악을찾는사람들행복동행

♧…しㅓしㅐフㅏ ススㅣフㅓててㅏ˚ **★┃사┃**★**┃랑┃**★**┃해┃★** …────ε♡з─˚Łοvё ♬~˚───˚♡
  • 50
  • 언제나 인라이브

    🎏꧁⭕┣추꧂🎭(@pcw4862)

  • 50
    🎏꧁⭕┣추꧂🎭 (@pcw4862)
    2022-02-17 17:25


    하늘을 닮아야겠다


    온갖 먹구름이 달려들어도,
    언제 그랬냐는 듯 세상의 아름다운 색을
    전부 끌어다 자신을 물들이던 하늘. 저러다
    하늘이 산산조각 나는 건아닐까 싶은 강력한
    천둥 번개에도 다음 날이 되자 무슨 일이 있었냐는 듯
    말끔히 털어 버리는 하늘. 면역력이 얼마나 좋은 건지
    항상 고요를 되찾는 하늘. 그날, 하늘을
    닮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 이민주의《그래도 오늘은 좋았다》중에서 -


    * 쉴 새 없이 흔들렸다가도
    어느새, 고요함을 찾아가는 하늘이기에
    우리는 가끔씩 하늘을 바라보며 위로받는가 봅니다.
    마음의 먹구름이 드리워질 때 하늘을 바라봅니다.
    그리고 내 마음의 먹구름을 걷어내봅니다.
    아름다운 무지개가 뜨기를 기다리며...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2-17 17:25


    스트레칭과 운동


    운동하다가
    다치는 일은 결코 좋은 일이 아니다.
    하지만 다치더라도 십중팔구, 그다음에
    할 수 있는 무엇인가가 분명히 있다. 부상을
    절대로 바란 적은 없을 테지만, 어쩌면
    부상을 통해 운동을 모든 것의
    맨 우선순위에 놓겠다고
    곰곰이 생각하게
    될지도 모른다.


    - 조너선 S. 캐플런의《도시에서 명상하기》중에서 -


    * 아파본 사람이
    평소 건강의 중요성을 절실히 깨닫습니다.
    어쩌다 부상을 당하면 평소 운동이 왜 중요한지를
    절감하게 됩니다. 운동장에 뛰어들기 전에 충분한
    스트레칭을 해야 부상당하는 일이 줄어듭니다.
    몸을 풀어주는 스트레칭과 규칙적인 운동을
    일상의 맨 우선순위에 올려놓으면
    병원에 갈 일이 줄어듭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2-17 17:24


    다시는 부서지지 않는다


    혹은
    다음과 같은
    고통도 견딜 수 있다.
    부상당한 퇴역군인이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시이다.
    "나는 부서졌어. 만신창이가 됐어.
    내가 싸울 수 없는 전투를 약이 대신 싸워주고 있지.
    모르핀 대 고통의 전투.
    내 몸은 전장. 내 정신은 사상자."


    - 스티브 레더의《고통이 지나간 자리, 당신에겐 무엇이 남았나요?》중에서 -


    * 부상당한 퇴역군인.
    그는 아직도 부서진 몸으로
    고통의 전투를 하고 있습니다.
    만신창이가 된 채 전장터를 헤매고 있습니다.
    한국의 근현대 역사, 그 상처 난 역사의 치유,
    결국은 우리 한국인 스스로의 몫입니다.
    다시는 부서지지 않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댓글 3

  • 50
    🎏꧁⭕┣추꧂🎭 (@pcw4862)
    2022-02-16 18:18


    ...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2-16 18:18


    ...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2-16 18:18


    ...

    댓글 0

  • 50
    🎏꧁⭕┣추꧂🎭 (@pcw4862)
    2022-02-16 18:17


    매년 티베트에 가는 이유


    그들은 자연을
    쪼개어 살지 않고
    바람이 부는 자연에 들어가 산다.
    나는 그들의 시가 그리워 거의 매년 티베트에 간다.
    그곳에서 걷고, 웃고, 울고, 고독하고, 우울해하면서
    피와 살을 고르는 시인들을 만나고 그들이 사는
    집에 머문다. 그러다 어떤 슬픈 뼛조각이나
    머리카락을 발견하면 그걸 기록하고
    글을 쓴다.


    - 심혁주의《소리와 그 소리에 관한 기이한 이야기》중에서 -


    * 아침편지가 매년 산티아고에
    가는 이유도 비슷합니다. 자연 그대로의 풍광,
    순례자들의 천년 기도가 서린 곳, 그 길을 걷고 쉬고
    울고 웃으며 스스로 시인이 됩니다. 그러면서 얻어지는
    깊은 휴식과 치유. 인생의 터닝 포인트를 찍는
    그 경이로운 경험이 해마다 발걸음을
    다시 옮기게 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댓글 1

  • 50
    🎏꧁⭕┣추꧂🎭 (@pcw4862)
    2022-02-16 18:17


    눈을 감고 본다


    그림을 하나 골라서
    마음의 눈으로 사진처럼 찍어 본다.
    그림의 세부 사항까지 가능한 한 모든
    것들을 시각적으로 생생하게 찍는다.
    그런 다음 눈을 감는다. 이제 눈을
    감은 채 마음의 눈으로 그 그림을
    마치 사진처럼 다시 떠올려
    볼 수 있는지 살펴본다.


    - 조너선 S. 캐플런의《도시에서 명상하기》중에서 -


    * 눈을 뜨고도 못 보는 것이 있고
    눈을 감고도 보이는 것이 있습니다.
    하늘나라에 계신 아버님의 얼굴, 빗물 쏟아지는
    처마 밑에서 어머니를 기다리며 훌쩍이던
    일곱 살 어린 시절의 모습, 눈을 감아야
    비로소 생생히 보이는 그림들입니다.
    그래서 다시 눈을 감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댓글 1

  • 50
    🎏꧁⭕┣추꧂🎭 (@pcw4862)
    2022-02-16 18:17


    반 컵의 물로 살아나왔다


    그는 어떤 핍박에도
    굴하지 않고 살아남아서
    신이 주신 삶의 목적을 찾고,
    나치의 잔학상을 폭로하겠다고 결심한다.
    그래서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하루에 한 컵씩 배급되는 물을 반만
    마시고, 나머지는 세수를 위해 아껴 두었고,
    유리조각으로 면도까지 했다. 그리고 결코
    낙담하거나 절망적인 말을 입에 담지 않았다.
    그 덕분에 그는 끝까지 살아남아서
    아우슈비츠에서 해방되었다.


    - 김재일의《멘탈경쟁력》중에서 -


    * '죽음의 수용소'를 쓴
    빅터 프랭클의 이야기입니다.
    반 컵의 물이 인간의 존엄성을 지켜주고
    극한의 자리에서 살아나올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희망과 자존감을 잃지 않으면
    사는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단 반 컵의 물로
    몸을 닦고 수염을 깎으며 견디는 모습에서
    위대한 생명의 불꽃을 발견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댓글 1

  • 50
    🎏꧁⭕┣추꧂🎭 (@pcw4862)
    2022-02-16 18:16


    정신과 도덕, 마음의 근력


    지각, 판단,
    차별적 감정, 정신활동,
    나아가 도덕적 기호까지도 포함하는
    인간의 능력은 선택하는 과정에서만 발휘될 수 있다.
    관습에 따라 행동할 때는 선택이 끼어들 틈이 없다.
    이 경우, 사람들은 최고를 분별하거나
    탐하는 것에서 경험을 쌓을 수 없다.
    정신과 도덕도 근력과 마찬가지로
    사용해야 좋아진다.


    - 마이클 샌델의《정의란 무엇인가》중에서 -


    * 우리 삶은 선택의 연속입니다.
    스스로 한 선택에 만족할 때도 있고,
    돌이킬 수 없는 선택에 후회를 하기도 합니다.
    선택의 결과가 어떠했든, 그 결과는 마음의 근력을
    튼튼하게 하고, 더 좋은 선택을 하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댓글 0

    • 쪽지보내기
    • 로그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