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찾사음악을찾는사람들행복동행
♧…しㅓしㅐフㅏ ススㅣフㅓててㅏ˚ **★┃사┃**★**┃랑┃**★**┃해┃★** …────ε♡з─˚Łοvё ♬~˚───˚♡-
50
-
언제나 인라이브꧁✨⭕┣🍀추🎭꧂(@pcw4862)
- 190 팔로워
- 1,015 팔로잉
- 🎏🍀🍧🌸톡톡올댓뮤직🌸🍧🍀🎭
-
50
꧁✨⭕┣🍀추🎭꧂ (@pcw4862)2022-02-23 17:16
...댓글 0
-
50
꧁✨⭕┣🍀추🎭꧂ (@pcw4862)2022-02-23 17:16
...댓글 1
-
50
꧁✨⭕┣🍀추🎭꧂ (@pcw4862)2022-02-23 17:16
...댓글 1
-
50
꧁✨⭕┣🍀추🎭꧂ (@pcw4862)2022-02-23 17:16
새해 복 많이 지으세요!
이제는
새해 인사를 드려야겠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복은 어느 누가 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지어서 내가 받는 것, 그렇다면
인사말을 이렇게 고쳐 해야겠네,
'새해에는 복을 많이 지으십시오!'
- 법정의《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중에서 -
* 새해 인사를
'새해 복 많이 지으세요!'로 바꾸자는
법정 스님의 말씀이 가슴에 와닿습니다.
복을 받기도 하고 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짓는 것이기도 합니다. 잘 지은 집처럼
내가 지어 내가 살기도 하고
다른 사람이 살기도 합니다.
복이 복을 짓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2-23 17:15
긍정적 목표가 먼저다
문제가 줄어들었다고 해서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다. 행복은
긍정적 목표를 세우고, 에너지를 집중하여
대안들을 생성해 내고, 이를 실행으로 옮길 때
비로소 찾아 온다. 노력으로 얻어지는 것이지,
흔히들 생각하듯 지금의 문제나 불행한
상황들이 없어지기만 하면 저절로
행복이 따라오는 것이 아니다.
- 이정미의《심리학이 나를 안아주었다》중에서 -
* 긍정적 목표가 먼저입니다.
그 다음은 집중이고, 그 다음은 실행입니다.
행복은 그 다음에 저절로 뒤따라 오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두려움이 크거나 부정적이면
결과도 부정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긍정적 목표로 출발하면
가는 길이 행복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3
-
50
꧁✨⭕┣🍀추🎭꧂ (@pcw4862)2022-02-23 17:15
희열을 느끼는 순간
나는 아직도
존재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
의식이 무엇인지 잘 모른다. 하지만
희열이 어떤 것인지는 알고 있다. 그것은
온전하게 현재에 존재하는 느낌, 진정한
나 자신이 되기 위해 해야 하는
어떤 것을 하고 있을 때의
느낌이다.
- 조셉 캠벨의《블리스 내 인생의 신화를 찾아서》중에서 -
* 2019년 한해를 마감하는 마지막날입니다.
올 한 해도 무고들 하셨는지요. 기쁨과 희열을 맛본
순간들은 얼마나 있으셨나요? 풍요와 안락의 시간도
기쁨을 안겨주었지만, 한 번 돌이켜 보십시오. 궁핍과
고통의 시간도 돌아보니 의미가 있었지 않습니까?
그 힘든 시간을 오직 현재에 존재하는 마음으로
잘 견디어낸 자기 자신이 희열이지 않습니까?
내가 나를 이겨낸 기쁨. 그보다
더 큰 희열은 없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2-23 17:14
낯선 풍경이 말을 걸어왔다
어느 때, 문득 풍경이
사람에게 말을 걸어오는 일이 있다
가슴 떨리고 황홀한 일이다. 나의 경우,
이런 희귀한 행운은 일상에서 보다 여행지에서
경험해본 특별한 느낌이다. 심지어 해와 달도 내가
보아오던 것과 다른 것처럼 여겨진다. 나 자신까지도
낯설게 생각되는 때도 있다. 처음 보는 사람에게
속이야기를 털어놓는가 하면 깊숙이 숨겨온
비밀을 끄집어내 바람을 쏘이기도 한다.
여행길 위에서 사람은
한결 가벼워진다.
- 신영길의〈길따라 글따라〉중에서 -
* 그렇습니다.
풍경이 말을 걸어올 때가 있습니다.
매일 대하던 일상의 풍경이 아니라 여행지에서 만난
낯선 풍경이 뜻밖의 말을 걸어오는 때가 있습니다.
그 경이로운 경험이 어떤 사람에게는 둘도 없는
인생의 터닝포인트가 됩니다. 여행하면서 만난
사람과의 인연도 값진 경험입니다. 서로의
아픔과 상처를 함께 털어내며
함께 웃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2-23 17:14
상대를 바꾸려는 마음
내가 그렇게 하고 싶은가?
그럼 그렇게 하면 되고
상대한테 바랄 필요 없습니다.
상대를 바꾸려 하니 내가 지치고
상대가 바뀌었으면 하니
미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 글배우의《지쳤거나 좋아하는 게 없거나 》중에서 -
* 누군가를 만날 때
그게 연인이든 친구든 내가 상대에게 한 만큼
나에게 돌아오길 바랐던 적이 매우 많습니다.
그 바람대로 되지 못한다고 느껴지면 관계가
끊어질 것이란 생각이 문득 들기도 합니다.
어쩌면, 그동안 저는 내가 바라는 대로
상대를 바꾸려고 했는지도 모릅니다.
나는 있는 그대로 봐줬으면 하고
바라면서 말이죠.댓글 0
-
50
꧁✨⭕┣🍀추🎭꧂ (@pcw4862)2022-02-23 17:11
간디의 길
간디의 길은
참의 길이기 때문에 아무 꾀나
술책이 없다. 선동이나 선전도 없다.
비밀이 없다. 대도직여발(大道直如髮)이다.
지극히 단순하고 간단한 것이다. 그러므로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그 길이다. 그것은
혼자서도 하는 싸움이다. 우리가 간디를
배워야 하는 첫째 이유는 우리와 인도의
사정이 비슷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 함석헌의《간디자서전》중에서 -
* 간디가 낸 길이
오늘의 인도를 만들었습니다.
만일 간디가 없었다면 인도는 지금
아마도 전혀 다른 길을 가고 있을 것입니다.
간디가 낸 '참의 길'을 생각하면서 우리는 지금
어떤 길을 내고 있는지를 돌아봅니다. 우리는 지금
꾀나 술책이 없는 사회인가. 선동이나 선전이 없는가.
깊이 성찰하게 됩니다. 우리도 '참의 길'을 내야 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50
꧁✨⭕┣🍀추🎭꧂ (@pcw4862)2022-02-23 17:11
간디의 길
간디의 길은
참의 길이기 때문에 아무 꾀나
술책이 없다. 선동이나 선전도 없다.
비밀이 없다. 대도직여발(大道直如髮)이다.
지극히 단순하고 간단한 것이다. 그러므로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그 길이다. 그것은
혼자서도 하는 싸움이다. 우리가 간디를
배워야 하는 첫째 이유는 우리와 인도의
사정이 비슷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 함석헌의《간디자서전》중에서 -
* 간디가 낸 길이
오늘의 인도를 만들었습니다.
만일 간디가 없었다면 인도는 지금
아마도 전혀 다른 길을 가고 있을 것입니다.
간디가 낸 '참의 길'을 생각하면서 우리는 지금
어떤 길을 내고 있는지를 돌아봅니다. 우리는 지금
꾀나 술책이 없는 사회인가. 선동이나 선전이 없는가.
깊이 성찰하게 됩니다. 우리도 '참의 길'을 내야 합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댓글 0
- 쪽지보내기
- 로그방문

개
젤리 담아 보내기 개
로즈 담아 보내기 개








0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