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쪽지
쪽지 플러스 구매
쪽지
삭제 전체 삭제
  • 쪽지
  • 친구
로즈선물
  • 임의지정
  • 내 보유로즈
    0

젤리선물
  • 임의지정
  • 내 보유젤리
    0

하트선물
  • 임의지정
  • 내 보유하트
    0

메시지 상세
00:00

logo

http://s6481df171f5c1.inlive.co.kr/live/listen.pls

전설e님의 로그

바람이 분다. 그대 오는 소리.
  • 19
  • 나 어때

    ♡전설e(@5004ace)

  • 19
    ♡전설e (@5004ace)
    2024-09-24 23:04


    대전 mbc 창사 60주년 기념 특집방송 초대에 선물로 ~~~~~!!!

    가을,
    가을한 9월 23일

    댓글 0

  • 19
    ♡전설e (@5004ace)
    2024-09-05 22:37


    마음이 울적할 때는 산에 올라야 한다.

    치열하게 지지고 볶았던 세상이
    성냥갑 하나처럼 보일 때
    그 속에서 내가 있었음을 안다.

    그래도 마음이 우울할 때는 시장에 가야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
    고단한 하루를 살아가는 그 속에
    또 하나의 내가 있었음을 알기에.

    그대가 나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비로소 나는 꽃이 되었다는
    어느 시인의 말처럼,

    그대 있음에 내가 있음을 깨달은 오후

    나는,
    가을이다.

    - 2024년 9월 5일 전설e 의 일기 중에서

    댓글 0

  • 19
    ♡전설e (@5004ace)
    2024-09-03 21:09


    어느 겨울에 쓴 일기


    원고지를 열었다.
    바를 정(正)자로 곧게 정렬된 네모 칸이
    누군가를 가둬 둔 창살만 같아 그만 접고 말았다.

    그 대신 하얀 종이를 열었다.
    어느 해 겨울,
    밤새 눈이 내려 온 세상이 백지로 변한 아침
    소복히 쌓인 눈 사이에 하나 둘 찍힌
    발자국.

    한참을 바라보았다.
    그는 어디에서 왔다가 어디로 간 것일까.

    어쩌면,
    아무도 모를 눈물 한방울
    가슴에 꼬옥 꼭 보듬고
    아직은 멀기만 한 봄날을 향해
    먼 길을 떠났을지도 모른다는 생각.

    그가 쓴 한 줄의 시가
    평생 모아서 일구었던 재산과도 바꿀 수 없이 소중하다고 말한
    길상사 여인,
    김영한의 가슴 시린 한마디,

    어줍짢은 내 글이
    누군가의 눈에 들어와 봄비가 되고
    꽃이 될 수 있다면 그 뿐.

    비가 내린다.
    저 비가 그치면 하나 둘
    겨울로 향해 떠나는 것들이 참 많을 것이다.

    그해 어느 겨울,
    하얀 백지 위에 쓰다 만 편지 한 줄이
    오래토록 가슴에 남아
    빈 바람 소리로 남아
    긴 긴 겨울 밤
    나를 또 울린다.


    "내게 아직 봄은 멀기만 하다.
    그대 아직 내게 오지 않았음으로......."

    댓글 0

  • 19
    ♡전설e (@5004ace)
    2024-09-02 08:07


    가을의 길목에서.....





    두 갈래 길에 서서
    한참을 서성였다.

    살아가는 동안 선택을 해야만 하는 순간이 있고

    그 길을 걷다보면
    가지 않은 길에 미련을 두기 마련.

    그대는 아는 지

    지금 내가 걷고 있는 이 길이
    먼 훗날

    아름다운 꽃길이 아니었더라도
    가지 않은 길 보다 후회스런 길이 아니었기를,

    나는, 소망한다.

    무언가 담기 위해서는
    쉼 없이 비우고 또 비워야 한다는 걸.

    비워 둔 그 자리에
    하늘의 별과 달,

    그리고 바람의 소리까지 오롯이 담은
    노을빛 연가이길...

    또 다시 찾아 온 가을의 길목에 서면
    붉은 노을이 선다.

    시린 그대 가슴에......

    댓글 0

  • 19
    ♡전설e (@5004ace)
    2024-08-04 21:11


    **
    저희 집 어머니는 올해로 80하고도 8년의 세월을 건너오신 분입니다.
    어느 누구나 그러하듯
    어머니에게 있어 아들은 늘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존재'인 모양입니다.


    지난 주말,
    친구 어머님이 돌아가셔서 문상을 마친 후
    어머님 댁에 들러 하룻밤을 잤습니다.

    코로나에 뇌경색, 급성 심근경색 등
    속칭 '종합병원' 그 자체였던 저희 어머니는 숱한 고비를 넘기고
    아직까지도 하루 일당 2만원(?) 주는
    마른고추 선별하는 동네 작업장에 출근하십니다.

    몇 번을 말렸지만, "놀면 더 아프다"는 핑계에 더는 할 말이 없어
    6남매 모두 손을 들고 말았습니다.

    예고없이 방문한 둘째 아들에게
    아침밥 제대로 차려주지 못하고 출근길(?) 서두르는 어머니.
    그 뒷모습을 한참이나 바라 본 제 마음 또한 편하진 않았지요.

    그런 어머니를 뒤로 하고
    지갑을 열어보니 10만원 남짓,
    평소 어머니가 자주 쓰시는 전화기 밑에 넣어두고
    귀갓길을 서둘렀습니다.

    어스름 저녁 나절, 일을 마치고 돌아 온 전화 한 통.



    "아니, 네가 무슨 돈이 있다고 매번 이렇게 놓고 가냐? 아침도 제대로 차려주지 못해서 미안한데....

    아들, 끼니 거르지 말고 잘 챙겨 먹어. 남자는 자고로 밥심으로 사는 겨~~~~~~~"

    잔소리 아닌 잔소리에 이력이 난 저는 슬그머니 전화를 끊었습니다.
    엄마와 딸은 몰라도,
    엄마와 아들 사이에 긴 수다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게 무슨 일이랍니까?
    문상가기 전, 양말과 속옷 등 급하게 꾸린 가방을 푸는 순간
    툭, 떨어진 봉투 하나.

    "어라~~~~~~ 이게 뭐지???? 내가 언제 비상금을 여기에 뒀었나?"

    꼬깃한 봉투 안에 들어 있는 신사임당 석 장.
    엄마가 아들 몰래 넣어둔 것이었습니다.

    "멀리 가려면 기름이라도 넣어야지? 4월 13일이 너의 둘 결혼기념일 맞지???
    애미하고 밥이라도 한 끼 먹으라고 조금 넣었다. 그리 알고~~~~~~"

    이번에는 어머니가 먼저 전화를 끊으셨습니다.

    먹먹한 마음에 저는 한참동안
    수화기를 쳐다보며 말을 잊었습니다.
    ................

    꼬깃한 지폐 석 장
    수화기 너머로 전해온 짧은 몇 마디.

    그것은 (중략)

    댓글 0

  • 19
    ♡전설e (@5004ace)
    2024-07-27 11:41


    ‘엄마’라는, 그 이름 하나로 /전설e


    “아들~~~ 밥은 먹은 겨?”

    “내 그럴 줄 알았어~~~~~~~~ 김 여사님, 요즘 세상에 밥 굶는 사람 있나요?”

    두 손 두 발 다 들고 말았습니다.

    차가 많이 밀려서 힘들겠다고,
    너무 힘들면 오지 말라고~

    전화기 너머 들려오는 팔십 육세 어머니는
    어느 시인보다도 비유법과 은유법이 넘쳐났던 여인입니다.

    힘들면 오지 말라면서도
    떡 하고 기름 짜고, 그도 모자라
    아들이 좋아라하는 고등어 구이에 육개장까지.........

    뇌경색에 심근경색, S자로 굽어버린 등뼈도 모자라
    대나무 마디처럼 굳어버린 손마디 마디.

    이제는 그 모습조차 보기 어려운 구비를 넘기시고 구십 줄 바라보시는 당신.

    머리와 허리, 하지 동맥 경화증으로
    날이 갈수록 굳어만 가는 당신은
    말 그대로 ‘종합병원’입니다.

    그래요, 자식에 대한 ‘내리 사랑’은 있어도
    부모를 향한 ‘치 사랑’은 없는 세월.

    인생을 낙엽 지우며 꽃 피울 아들 딸
    어루시던 손길

    밭 일에 산더미처럼 쌓여만 가는 빨래거리
    1년 365일 손등에 물 마를 새 없이 달려오며
    어머니는,
    또 어떤 강을 건너셨을까요?

    이젠 그 자식들도 누군가의 애미가 되고 애비가 된 나이.
    당신의 모진 세월도 한 세월을 건너가서
    다시 꽃 피게 되는 날

    저는 그것을 그리움이라 쓰고
    사랑이라고 읽어 봅니다.

    이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그 이름 하나 있어
    나지막한 목소리로 불러 보는 그 이름 하나.

    ‘엄....마...’.

    댓글 0

  • 19
    ♡전설e (@5004ace)
    2024-07-26 17:44


    오늘 하루


    찌는 듯한 더위 속에
    한바탕 소낙비가 내렸습니다.

    그대와 나의 만남이 그러했듯
    눈비 맞으며 함께 걸어왔던 길.

    봄날의 추억은 책갈피 한 켠에 고이 묻어두고
    휘엉청 달 밝은 밤에 몰래 꺼내보면

    예쁜 꽃물 하나 들었을까요?

    그래요.
    어쩌면 우리는.....

    지는 저녁놀을 바라보며
    말없는 독백으로 한 마디 건네지 않아도

    고개 끄덕일 수 있는
    그런 인연이었기를 바래 봅니다.

    "여기까지 잘 왔어. 함께 걷는 이 길
    참, 고마운 그대였다고................."

    댓글 0

  • 19
    ♡전설e (@5004ace)
    2024-06-23 21:07


    전설e의 편지

    한 아이가 있었습니다.

    반벙어리 1년
    귀머거리 1년
    눈치코치도 없는 그 소년이 인터넷이라는 바다에
    발을 디디기 시작한 것.

    익명의 공간에서도
    기다림과 그리움, 사랑과 이별이 있었다는 사실,

    뜬금없이 팔순 어머니의 당부가 생각납니다.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 애비야, 말수를 줄여라. 자제할 줄 알아야 한다.”

    그 말씀이 곧, 60줄 접어든 아들을 위해
    당신이 전하는 말씀이자 사랑이었음을 압니다.

    회자정리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겠지만

    적어도 꽃 한송이 피우고 싶었습니다.
    아니, 아니, 꽃은 못 피우더라도
    꽃씨 하나 품고 싶었습니다.

    만나적이 없기에 헤어질 것도 없다는
    법정 스님의 말씀처럼
    저는 오늘, 또 다시 길을 떠납니다.

    웃고 울고 하기를 몇 날
    눈물로 얼룩진 삐에로와 같았던 제 이름은 전설입니다.

    ‘곡예사의 첫 사랑’을 좋아라했고
    어머님이 좋아하셨던 ‘섬마을 선생님’도 젓가락 장단으로 잘 들었습니다.

    이 모든 것을 모두 모두어
    일기장 아래 꼬옥 꼭 묻어두면
    어느 가을 날,
    예쁜 단풍잎 하나 건질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어눌하기만 했던 그 소년.

    이름 하나는 기억해 주길 바라며..............


    .............

    가시나무 / 소향
    1994년 어느 늦은 밤 / 장예진

    댓글 0

  • 19
    ♡전설e (@5004ace)
    2024-06-09 04:07


    부추꽃
    별이 되는 밤.

    보고 싶다는 말조차 잃어버린
    그대 이름은


    댓글 0

  • 19
    ♡전설e (@5004ace)
    2024-06-06 15:21


    아버지를 추억하며


    강물 같은 그리움을 담아
    불러보는 그 이름

    아버지

    당신의 그림자가 유난히 길게 자란

    현충일

    조용히 두 곡
    그대의 머리맡에 드립니다

    1. 향수
    2. 아버지 / 박강수

    댓글 0

    • 쪽지보내기
    • 로그방문